반응형

제조원가 2

재무 모델링 기초 지식 - 매출원가 추정

재무 모델링 기초 지식 - 매출원가 추정 매출 추정 다음 단계에서는 매출원가를 추정해야 합니다. 매출원가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어야 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순이익)이 얼마 정도인지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손익계산서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게 되실 것 같습니다. 매출이 큰 것도 중요하지만 사업(기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얼마나 큰지가 더 중요한 평가 요인이 됩니다. 사업 규모가 크지만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이 적다면, 그 사업은 매력있는 사업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매출원가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업별 비용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사업인지 아니면 인력이 많이 필요한 사업인지, 마케팅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지 등에 따라 매출원가에서 해당 비..

기초MBA 2021.01.07

회계 기초 지식 - 제조원가의 분류와 개념

회계 기초 지식 - 제조원가의 분류와 개념 1. 제조원가의 분류 제조원가는 크게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분류합니다. 여기서 직접은 추적가능한 원가이고, 간접은 추적이 불가능한 원가라는 개념을 다시 상기해보면서 내용을 보면 직접재료원가는 제품 제작에 들어가는 재료로서 추적이 가능한 원가이며, 직접노무원가는 발생한 인건비가 어떤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는지 추적이 가능한 원가입니다. 하지만 공장에서 발생되는 비용들이 모두 추적이 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임대료, 전기 등) 이 모든 추적 불가능한 비용을 묶어서 제조간접원가로 봅니다. 만일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다고 한다면 각 제품의 제조원가 분석시 제조간접원가를 어떻게 배분하는지가 중요하게 됩니다. 2. 원..

기초MBA 2020.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