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MBA

회계 기초 지식 - 회계 용어 정리 #2

Juns_Daddy 2020. 12. 12. 16:15
반응형

회계 기초 지식 - 회계 용어 정리 #2

 

영업비용 :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비용. 판매비와 관리비라고도 함. 관리부서 임금, 렌트비, 판매 및 마케팅 비용 등이 여기에 속함.

 

영업이익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영업비용을 차감한 금액. 이자 및 세전 이익(EBIT)이라고도 함

 

영업활동 현금흐름 : 투자나 재무활동이 아닌,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순현금흐름

 

운전자본 : 회사의 일일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 회사의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차감한 값

 

유동비율 : 회사의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한 것으로 총유동자산을 총유동부채로 나눈 값

 

유동자산 : 현금화가 가장 쉬운 자산으로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이 있음

 

유보이익 : 회사가 창립 이후 배당으로 지급하지 않고 유보한 세후 이익의 총계

 

유형자산 : 회사가 얼마나 많은 자금(감가상각 후)을 건물과 기계 같은 비유동자산에 투자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상태표 의 항목

 

이자보상배율 : 이자비용에 대한 회사의 안전한계를 나타내는 지표. 현재 영업이익으로 얼마나 많은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냄. 이자 및 세전 이익(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 회사 자본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소유주지분 이익률이라고도 함. 

 

자본 :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값. 주주지분 혹은 소유주지분이라고도 함.

 

자본비용 : 회사가 자금 조달의 대가로 투자자나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이율. 차입자본에 대한 평균이자율과 자기자본에 대한 기대수익률 등을 고려해 회사의 가중평균자본비용을 계산함

 

자산 : 회사의 경제적 자원.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토지, 건물, 차량, 기계, 장비, 기타 투자 등을 말함.

 

자산회전율 : 매출액을 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임. 보통 수차가 높을수록 좋음

 

장부가액 :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자산의 가치. 새로운 자산의 장부가액은 취득원가로 계상되지만, 그 수치는 매년 감가상각만큼 감소함. 따라서 자산의 장부가액은 비용에서 감가상각 누계액을 차감한 값임.

 

재고일수 : 특정 기간 회사가 평균 재고자산을 판매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평균 재고자산을 일일 매출원가로 나눈 값

 

재고자산 : 제작되거나 판매될 것으로 가게에 진열된 상품, 창고에 보관된 제품, 재공품, 원재료 등을 말함

 

재무레버리지 : 회사의 자산 중 부채로 조달된 자산의 정도. 업종 평균보다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는 레버리지가 높다고 표현함

 

재무상태표 :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회사의 재무상태(자산, 부채, 자본)를 요약한 표. 재무상태표 공식에 따르면 회사의 자산은 부책 및 자본의 합과 같음

 

 

주가수익비율(PER, P/E) : 현재 주가를 과거 12개월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의 가치를 비교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

 

주당순이익(EPS) : 회사의 순이익을 총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 상장회사의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지표 중 하나임

 

직접비 :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과 직접 관련된 비용.

 

총자산이익률(ROA) :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가 보유한 자산의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

 

허들레이트 : 투자에 대한 회사의 최소 요구수익률

 

현금주의 회계 : 현금이 실제로 오가는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 회계

 

현금흐름표 : 회사의 현금이 어디에서 유입되었고 어디로 유출되었는지를 정리한 표

 

화폐의 시간가치 : 미래에 받게 될 돈의 가치보다 오늘 받을 돈의 가치가 높다는 원칙

 

회수기간 : 자본투자 비용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시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