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MBA

회계 기초 지식 - 회계 용어 정리 #1

Juns_Daddy 2020. 12. 12. 16:14
반응형

회계 기초 지식 - 회계 용어 정리 #1

 

간접비 :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가 직접 관련되지 않은 비용

 

감가상각 : 건물이나 기계 같은 유형자산의 비용을 일부 반영해 손익계산서에 계상한 것. 유형자산의 비용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인식된다. 감가상각 연수는 회사의 내부 회계기준에 따라 적용되며, 정율법과 정액법이 있다.

 

경제적 부가가치 (EVA) : 회사의 순이익에서 자본비용을 차감한 값

 

고정비 : 단기적으로 매출수량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비용. 관리부서 임금, 이자, 렌트비, 보험료 등이 여기에 속한다. 

 

공헌이익 : 제품비용 분석에 활용되는 이익 개념으로 단위당 수익에서 단위당 변동비를 차감한 값. 비유동자산비용 회수에 공한할 수 있는 자금의 합계

 

납입자본 : 주식과 교환되어 회사로 유입된 자금

 

내부수익률(IRR) : 투자의 순현재가치가 0이 되는 할인율

 

당기순이익 : 회사의 매출액에서 총비용(이자 및 세금 포함)을 차감하고 남은 이익

 

당좌비율 : 회사의 단기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산성시험비율이라고도 한다. 현금, 매출채권, 시장성 증권 등의 합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이다. 

 

레버리지 비율 : 회사의 부채 조달과 관련된 비율. 이자보상배율과 부채비율 등이 여기에 속하며, 채무에 대한 회사의 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매입채무 : 회사가 공급자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

 

매출채무회전일수 : 회사가 공급자에게 대금을 지급하는데 평균 며칠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매입채무를 일일 매출원가로 나눈 값이다. 

 

매출수익률 (ROS) : 회사의 전반적인 이익창출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 순이익을 총매출액으로 나눈 값으로 순이익률이라고도 한다. 

 

매출액 : 제품과 서비스를 돈으로 교환한 것

 

매출원가 : 제품 생산에 직접 관여된 비용

 

매출채권 : 회사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로 받을 금액

 

매출채권회전일수 : 회사가 매출채권을 회수하는데 평균 며칠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매출채권을 일일 매출액으로 나눈 값이다. 

 

매출총이익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값

 

매출총이익률 : 매출액 대비 매출총이익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발생 : 특정 회계기간 동안 거래는 일어났지만, 기말까지 지급되지 않은 비용 총액

 

발생주의 회계 : 실제 현금의 유출입 시점에 상관없이 수익과 비용이 발생하였을 때 장부에 계상하는 회계방식. 수익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점에 인식되며, 비용은 그와 관련된 수익이 발생하는 시점에 인식됨

 

배당 : 투자에 대한 대가로 회사의 주주에게 지급하는 금액 

 

배분 : 어떤 항목의 비용을 보통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코스트 센터로 나누는 과정. 예를 들어 렌트비나 전기요금 같은 간접비는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각 부서에 배분됨

 

밸류에이션 : 인수, 매각, 투자 등을 위해 회사의 가치를 추정하는 것

 

변동비 : 매출 수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으로 재료비나 판매수수료 등이 여기에 속한다. 

 

부채 : 채권자에게 상환해야 할 금액. 동시에 회사의 자원에 대한 재무적 청구권임. 매입채무, 대출, 모기지 등이 여기에 속함

 

부채비율 : 회사의 미상환 부채와 소유주지분을 비교한 것. 총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비유동자산 : 현금화하기 힘든 자산으로 빌딩이나 장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비율 분석 : 3대 재무제표에 기록된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 재무제표에 계상된 두 항목의 비율로 표시됨

 

상각 : 특허권 같은 무형자산의 비용을 일부 반영해 손익계산서에 계상한 것 

 

생산성 비율 : 회사의 생사성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 다른 항목 대비 이익의 비율로 표현됨. 총자산이익률, 자기자본이익률, 매출수익률 등이 있다. 

 

생산성 지표 : 직원 일인당 매출액과 직원 일인당 순이익 같이 매출 및 이익 정보를 인력 데이터와 연계한 지표

 

서비스 원가 : 서비스 제공에 직접 관련된 비용

 

성장 : 회사의 매출, 이익, 자본의 증가

 

세전이익 : 소득세(혹은 법인세) 지급 전 순이익

 

손익계산서 : 특정 기간 (한달, 한 분기, 일 년) 회사의 매출, 비용, 이익을 정리한 보고서. 손익보고서(P&L, Profit-and-Loss statement), 영업보고서(Statement of operations), 수익보고서(Statement of earnings) 라고도 함

 

손익분기 매출수량 : 제품 라인의 총공헌이익이 총고정비용과 같아지는 매출수량. 판매가격에서 단위당 변동비를 차감하여 단위당 공헌이익을 구한 다음 총고정비를 단위당 공헌이익으로 나누면 손익분기 매출수량을 구할 수 있음. 투자의 손익분기점은 투자로 유입된 순현금이 투자비용과 같아지는 지점임.

 

수입 : 손익계산서의 첫 번째 항목으로 특정 기간 고객에게 인도된 제품 혹은 서비스의 가치임. 매출액이라고도 함.

 

순현재가치(NPV) : 투자로 창출될 미래 현금의 현재가치에서 투자비용을 차감해 계산한 투자의 현재가치 추정액

 

 

 

반응형